책 이야기

세계관은 삶이다. -1부 만물이 그에게서 나왔고

평화숲 2010. 8. 2. 11:27

 

책의 목차

1부  만물이 그에게서 나왔고    1.세계관은 삶이다.  2. 창조 - 성경적 세계관과 삶의 출발점

2부 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았고 3. 타락 - 우상을 만드는 공장     4. 구속 - 우주적인 회복

3부 만물이 그를 위하여있습니다. 5. 완성- 영광스러운 비전      6.어떤 삶을 선택할 것인가?

 

1부 만물이 그에게서 나왔고.

1. 세계관은 삶이다.

 1) 세계관은 삶의 비전을 보여 준다.

우리가 사실을 의식하든 하지 않든 우리 모두는 각자가 살고 있는 세계를 어떻게 이해하는지, 그리고 그 안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하고 결단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세상의 사람들 중에는 자신의 세계관과 인생관을 매우 일관성 있게 정립하며 그 세계관에 충실한 삶을 살아가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고 혼돈스러운 세계관을 가지고 있거나 자신의 세계관에 부합하는 삶을 살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명한 사실은 세계관이 없는 사람은 없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가진 세계관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하나의 전제조건이 되는 동시에 삶을 이끌고 가는 하나의 동인이자 비전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세계관과 타인의 세계관을 구분하고 알 수 있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자신의 세계관과 다른 세계관들을 검토하지 않고 사는 삶은 자칫 헛된 삶으로 끝나기 쉽기 때문입니다. (예: 나치즘을 절대진리로 믿으며 숭배했던 히틀러와 그의 심복들의 삶은 결국 절망적이었다. 영화 <몰락> 참고)

 2) 세계관이란 무엇인가?

임마누엘 칸트와 독일 관념론자  : 세계에 대한 직관

아브라함 카이퍼와 헤르만 도여베르트와 같은 신칼빈주의 : 세계 및 인생관

그 외 : 삶에 대한 조망, 고백적인 비전, 한 사람의 삶의 원칙들 또는 이상들....

산스크리트어 : loka = 세 (시간) + 계(공간),  동양적 의미 = 시간과 공간으로 구성된 세계 전체에 대한 포괄적인 관점

 3) 세계관은 삶의 소명과 방향을 결정한다.

제임스 사이어의 세계관 정의 :

  (1) 옳을 수도 있고 일부만 맞을 수도 있으며 전적으로 틀릴 수도 있는 삶에 대한 전제들, 즉 우리 모두가 의식 또는 무의식적으로 일관성이 있든지 없든지 간에 세계의 기본 구성에 대해 가지고 있는 전제들의 집합.

 (2) 세계관은 우리의 존재 중심인 마음의 헌신이며 근본적인 방향 설정으로서 우리가 세상의 기본 구조에 대해 가진 하나의 이야기 또는 전제의 집합들로 우리가 살고 움직이며 존재의 근거가 되는 기초이다.

 브라이언 왈쉬와 리처드 미들톤 : 세계관이 세상의 모델을 제공하는 동시에 세상에 사는 사람들을 인도한다.

 

"세계관이란 세계와 삶에 대한 전제들로서 체계적인 성격을 가지며 모든 인간 활동의 헌신과 방향을 결정하는 관점이다."

 

 4) 바른 세계관은 풍성한 삶을 낳는다.

 <제임스 사이어와 반 데어 발트의 견해>

 세계관에 대한 중요한 질문 네 가지

 첫째, 나는 누구인가? : 인간의 본질과 사명 또는 목적은 무엇인가?

 둘째, 나는 어디에 있는가? : 내가 살고 있는 이 세상과 우주의 본성은 무엇인가?

 셋째, 무엇이 문제인가? : 내가 목적을 달성하는 데 방해물은 무엇인가?

 넷째, 그 해결책은 무엇인가? : 이 방해물을 어떻게 제거하여 구원을 얻을 수 있겠는가?

    인간 / 세계 / 악 / 구원의 문제

 <사이어의 일곱가지 질문>

 첫째, 진정한 실재는 무엇인가?

 둘째, 우리 주변 세계의 본질은 무엇인가?

 셋째, 인간은 무엇인가?

 넷째, 죽은 이후 인간은 어떻게 되는가?

 다섯째, 우리가 무엇을 아는 것은 도대체 어떻게 가능한가?

 여섯째, 우리가 옳고 그름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일곱째, 인간 역사의 의미는 무엇인가?

 <반 데어 발트>

첫째, 세계관은 포괄적이다.

둘째, 사물을 바라보는 방식이다.

셋째, 우리가 이 세상을 이해하고 방향을 잡도록 도와준다.

넷째, 하나의 통합적 관점을 제공한다.

다섯째, 묘사적인 동시에 규범적이다.

여섯째, 전적 헌신을 요구한다.

일곱째, 전형적으로 인간에게만 있다.

여덟째, 전학문적이다.

아홉째, 행동의 근저에 깔린 기원이다.

열번째, 현실 세계에 대한 명확한 상이지만 아직 완전하지 않다.

 

 세계관의 기능

 1) 세상과 나 자신을 이해하는 해석적 열쇠 (세상에는 많은 열쇠가 있지만, 세상과 인간을 올바로 이해할 수 있는 열쇠는 단 하나만 존재)

 2) 세계관은 현실의 상황과 삶의 경험 가운데서 인간 존재에 의미를 부여(삶의 목적을 깨닫게 하고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도록 동기를 유발시킨다.)

 3) 바른 세계관은 우리 삶의 규범적인 틀로, 우리 삶을 그 원칙에 의해 선택하도록 인도하며 특정한 패턴을 따라 행동하게 함

 4) 올바른 세계관은 우리의 소명을 자각하도록 일깨우며 이 세상을 보다 나은 곳으로 만들어야 할 책임을 느끼게 함 (참된 세계관은 단지 세상을 이해하는데서 머물지 않고 이 세상을 어떻게 변화시켜야 하는지를 깨닫게 해주며 그 방향으로 나아가게 인도)

[ 세계관은 세상의 구조를 서술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할 뿐만 아니라 이 세상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하는 규범적 측면을 포함한다. ]

 

바른 세계관은 우리 자신의 정체성과 온전한 모습을 형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며, 안정감, 만족감, 내적 평안, 그리고 기쁨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세계관은 결정적인 상황에서 아군과 적군, 올바른 세계관과 잘못된 세계관을 분별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진단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세계관에 위기가 오면 그 세계관을 가진 사람들은 존재의 근거가 위협받게 된다. 히틀러의 나치즘이 몰락할 때 그의 부하들이 함게 자결하는 모습이 대표적인 예이다.

 

5. 성경적 세계관의 틀 : 창조, 타락, 구속, 완성

  창조는 원래 하나님이 보시기에 아름다운 깨끗하고 밝은 하나의 원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모든 것은 매우 좋았다. 그러나 인간이 죄를 지음으로 말미암아 세계는 뒤틀리고 타락하게 된다. 이것은 검은 원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 결과 세상의 모든 것은 죄라고 하는 바이러스에 오염되어 병들어 있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 땅에 오셔서 십자가에 죽을시고 부활하심으로 죄와 사망의 권세를 깨뜨리시고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신다. 그 결과 뒤틀린 세상이 다시 회복되며 빛의 나라가 어둠의 나라를 정복해 나간다. 이것은 깨끗한 원이 어두운 원을 몰아내는 모습으로 표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과정이 끝나면 왜곡된 창조의 세계는 완전히 새롭게 변화되며 하나님의 나라가 완성될 것이다.

 "만물이 그에게서 나왔고, 그로 말미암아 있고, 그를 위하여 있습니다."(롬 11:36)

 

'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판 앞에 나가기 싫어  (0) 2010.08.04
세계관은 삶이다. 1부 2. 창조 -성경적 세계관과 삶의 출발점  (0) 2010.08.02
사람풍경 - 김형경  (0) 2010.07.26
착한 아이의 비극  (0) 2010.07.23
김예슬 선언  (0) 2010.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