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 파커 파머 인간의 마음은 민주주의의 첫 번째 집이다. 거기에서 우리는 묻는다. 우리는 공정할 수 잇는가? 우리는 너그러울 수 있는가? 우리는 단지 생각만이 아니라 전 존재로 경청할 수 있는가? 그리고 의견보다는 관심을 줄 수 있는가? 살아 있는 민주주의를 추구하기 위해 용기 있게, 끊임없이, .. 책 이야기 2016.08.30
평화, 그 아득한 희망을 걷다. - 송강호 [평화, 그 아득한 희망을 걷다. ]119쪽 송강호는 강정에 기도하러 왔다고 했다. 아침마다 구럼비에서 목놓아 기도했다. 펜스와 철조망으로 구럼비로 가는 길이 막혀 후로는 카약을 타고, 그마저 여의치 않으면 수영을 해서라도 기어코 구럼비에 들어가 기도했다. '전사' 송강호는 무엇보다 .. 책 이야기 2015.11.10
가르칠 수 있는 용기, 공포의 문화 - 파커 파머 공포의 해부 만약 우리가 훌륭한 가르침의 핵심인 상호연결성을 갖추고 또 그것을 심화시키고자 한다면, 우리는 '단절된' 생활이 가져오는 치우침을 이해하고 또 거부해야 한다. 왜 교육 문화는 상호연결성을 방해하는 것인가? 왜 우리의 학생과 학과로부터 우리 자신을 멀리 떨어지게 .. 책 이야기 2015.10.24
불멸의 다이아몬드 - 리처드 로어 불멸의 다이아몬드 저자 리처드 로어 지음 출판사 한국기독교연구소 | 2015-02-10 출간 카테고리 종교 책소개 40년 넘는 사목활동을 통해 영적 지도와 심리치료를 병행하신 프... 1장 "진짜 자기"란 무엇인가? -우리의 절대적인 정체성 -우리의 영혼 -하느님 안에 있는 우리 -우리 안에 계신 하.. 책 이야기 2015.08.10
데이비 봄의 "대화의 목적" 대화의 목적은 사물을 분석하는 것도 아니고 논쟁에서 이기는 것도, 의견을 교환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의견들을 유보하고 관찰하는 것이다. 모든 참가자의 의견에 귀를 기울이고, 그것을 유보한 다음 무슨 의미인가를 보는 것이다. 일단 모든 의견이 의미하는 바를 알면, 거기에 완전.. 책 이야기 2015.05.04
창조적 대화론 - 데이비드 붐 1. 커뮤니케이션에 대하여 -세계를 하나로 연결해주는 발전된 시스템에도 불구하고 커뮤니케이션은 오히려 유례없는 규모로 붕괴되고 있다. 경제 혹은 정치체제가 다른 국가 사람들은 전쟁이 아니고서는 소통할 기회가 거의 없다.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사람들이 자기 집.. 책 이야기 2015.05.03
인간의 조건 -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한길그레이트북스 011) 저자 한나 아렌트 지음 출판사 한길사 | 1996-08-20 출간 카테고리 인문 책소개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과학기술문명으로 파괴된 인간 회복에 초점을... "우리가 활동할 때 우리가 진정 행하는 것은 무엇인가?" 한나 아렌트 사상의 핵심을 이루고 잇는 질문이.. 책 이야기 2015.02.24
수치심의 치유 - 존 브래드쇼 수치심의 치유 -127쪽 사회적으로 합의된 실재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사회적으로 공통된 현실에 도달하게끔 되어 있다. 이 말은 사회학자들이 우리의 사회적 현실에 어떻게 형성되어 가는지를 설명할 때 사용하는 말이다. 사실 인간은 관습의 산물이다. 우리 인간은 주위 환경에서 살아남.. 책 이야기 2014.03.26
니콜라스 월터스토프의 문제 의식 -그리스도인은 현 사회 질서와 관련하여 어떤 전반적인 목표를 세워야 하는가? 아니, 좀더 예리하게 질문하자면, 그리스도인은 현 사회 질서에 어떻게 자신을 끼워넣어야(insert)하는가? 끊임없이 제기되는 이 질문에 답하고자 나는 강연했고 그 내용이 이 책에 실려 있다. -기독교적 관점.. 책 이야기 2014.03.13
정의와 평화가 입맞출 때까지, 강영안 교수의 해설 -현재 지구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겪는 고통 가운데 월터스토프는 세 가지 문제를 들어 논의한다. 첫째가 빈곤의 문제이고, 두번째가 민족주의의 문제이고, 세번째가 삶을 피폐하게 만드는 도시의 문제다. 오늘날 세계가 경험하는 빈곤의 문제가 단순히 개별국가의 문제거나 그 안에 거.. 책 이야기 2014.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