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영성에서 바라본 회복적 생활교육 - 박성용 기독교 영성에서 바라본 회복적 생활교육 박성용 기독교사가 회복적생활교육에 다가갈 때 장애물들 일반 교회에서 신앙훈련을 받은 기독교사가 학교현장에서 회복적생활교육(Restorative Disciplines)이라는 목표점에 도달하는 길에는 몇 가지 장애가 있다. 이 장애는 심각할 정도로 보편화되.. 박숙영의 회복적생활교육 이야기 2017.06.06
[스크랩] 무엇을 회복할 것인가? 박숙영의 회복적 생활교육 이야기 52 무엇을 회복할 것인가? 법과 정의에 대한 성서적 사고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샬롬(shalom)’과 ‘언약(covenant)’의 개념이 핵심적이다. 따라서 여기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하워드 제어 무엇을 회복할 것인가? 회복적 정의에서 ‘회복’은 무엇을 의.. 박숙영의 회복적생활교육 이야기 2016.10.13
[스크랩] 어떻게 인간다움을 상실하지 않는 삶이 가능할까? 박숙영의 회복적 생활교육 이야기 51 어떻게 인간다움을 상실하지 않는 삶이 가능할까? 비폭력대화의 창시자인 마셜B. 로젠버그에게는 두 가지 질문이 있었다. 첫째, 왜 우리는 본성을 잃고 서로에게 폭력을 쓰면서 살게 되었을까? 둘째, 그런 반면에 어떤 사람들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어.. 박숙영의 회복적생활교육 이야기 2016.10.13
[스크랩] 교육 실험, 회복적 대화모임 효과성 설문조사 결과 박숙영의 회복적 생활교육 이야기 50 교육 실험, 회복적 대화모임 효과성 설문조사 결과 회복적 대화모임이 과연 학교폭력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 학교폭력의 교육적 해결이 가능할까? 형사처벌방식이 아닌, 대화로 진정성있는 사과와 화해를 가능하게 할까? 오히려 학교폭력을 은폐·축.. 박숙영의 회복적생활교육 이야기 2016.10.13
[스크랩] 학교 안에 경찰력 확대를 우려한다. 박숙영의 회복적 생활교육 이야기 49 학교 안에 경찰력 확대를 우려한다. 학교전담경찰관제 도입 학교폭력예방을 위해 2005년 부산에서 처음으로 시범·실시된 ‘배움터 지킴이’가 긍정적으로 평가를 받아 2006년에 전국적으로 확대 실시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1년 말에 학생들이 .. 박숙영의 회복적생활교육 이야기 2016.10.13
[스크랩] 학교의 교육적 기능 회복을 위해 회복적 생활교육의 과제 회복적생활교육센터 대표 박숙영 학교의 교육적 기능 회복을 위해 회복적 생활교육의 6년차에 접어들면서 그동안의 실천 과정을 통해 제기된 과제들에 대해 돌아보고자 한다. 2012년에 개정된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대한 법률’은 처벌 강화에 방점이 있다. .. 박숙영의 회복적생활교육 이야기 2016.10.13
[스크랩] 교사의 진정한 책무는 학교폭력 신고인가? 박숙영의 회복적 생활교육 이야기 48 교사의 진정한 책무는 학교폭력 신고인가? 법률로써 이끌고 형벌로서 다스리면 백성들은 이 그물만 벗어나려 하여 부끄러움을 모른다. 그러나 덕으로써 인도하고 예의로써 다스리면 그들은 부끄러움을 알고 나아가 올바른 사람이 되려 한다. - 공자 .. 박숙영의 회복적생활교육 이야기 2016.10.13
[스크랩] 학교 폭력 가해자라는 딱지 박숙영의 회복적 생활교육 이야기 47 학교폭력 가해자라는 딱지 우리가 타인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우리가 그들을 알고 있던 순간들에 대한 우리의 기억일 뿐이다. 학교폭력 생활기록부 보존 지침 합헌 결정 4월 28일 헌법 재판소는 ‘학교폭력 가해 사실을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해 일정.. 박숙영의 회복적생활교육 이야기 2016.10.13
[스크랩] 학교폭력해결을 위한 회복적 과정 박숙영의 회복적생활교육 이야기 46 학교폭력해결을 위한 회복적 과정 이 법은 학교폭력 예방과 대책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피해학생의 보호, 가해학생의 선도 · 교육 및 피해학생과 가해학생 간의 분쟁조정을 통하여 학생의 인권을 보호하고 학생을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 육.. 박숙영의 회복적생활교육 이야기 2016.10.13
[스크랩] 지금은 둥글게 모여 이야기할 때. 박숙영의 회복적 생활교육 이야기 45 지금은 둥글게 모여 이야기할 때. 서클 CIRCLE이란 둥글게 앉아서 이야기하는 모임형태를 말한다. 서클은 인류의 가장 오래된 모임 방식이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둥그렇게 모여 앉는 방식보다는 일렬로 줄을 지어 모이는 방식이 일반화 되었다. 회의 .. 박숙영의 회복적생활교육 이야기 2016.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