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숙영의 회복적생활교육 이야기 56

공동체의 혼란 단계에서의 과제, ‘마음 비우기’

박숙영의 회복적 생활교육 이야기 36 공동체의 혼란 단계에서의 과제, ‘마음 비우기’ 학기 초에 의미심장하게 시작했던 학급 공동체에 곧 위기가 올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혼란과 위기의 파도가 밀려오면 거부하지 말고 파도타기를 하자고 각오하고 있었다. 하지만, 막상 혼란이 ..

‘회개’와 ‘용서’는 노력의 산물이 아니라, 열림의 산물이다.

박숙영의 회복적 생활교육 이야기 33 ‘회개’와 ‘용서’는 노력의 산물이 아니라, 열림의 산물이다. 자아회복을 위한 ‘회개’와 ‘용서’ 회복적 생활교육에서 ‘회복’은 ‘자아’, ‘관계’, ‘피해’, ‘공동체’, ‘정의’의 회복을 의미한다. 피해를 경험하게 되면 자아가 훼손..